성서와 평화

최영실 지음

 

*** 위 그림을 클릭하면 더 큰 그림을 볼 수 있습니다 ***

 

<추천의 글>

최영실 교수가 지금까지 논문 또는 강연과 설교로 발표한 글들과 미발표의 여러 글들을 정리하여『성서와 여성』,『성서와 평화』라는 두 권의 책으로 출판하게 됐다. 나는 최 교수가 신학도의 길을 택하기 직전, 자기 인생의 진로를 놓고 고민하던 시절에 그를 만났다.

어머니로부터 물려받은 기독교적 경건주의의 삶에 대한 동경과 지금 자기가 살고 있는 현실의 삶에 대한 갈등이 그녀를 다시 신앙과 성서의 세계로 눈을 돌리게 한 것일까? 최영실은 교육심리학을 전공한 후 이화여대 기독교학과에서 성서학을 전공하여 석사학위를 취득한 후 요한복음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최 교수가 성서를 공부하고 가르치는 사람으로서 지금의 실력을 쌓고 또 그의 글과 강연이 많은 사람들에게 신선한 충격을 주고 공감을 일으키는 데는 그럴 만한 이유가 있다. 그는 박사학위 취득을 위한 연구과정에서 두 사람의 탁월한 성서학자의 지도를 받는 행운을 누렸다. 그 당시 이화여대 신약학 교수이던 허혁 박사는 신약성서, 특히 복음서 원전 주해에 있어서 한국 최고의 권위자일 뿐 아니라, 원전의 올바른 이해 없이 성구를 자의적으로 인용하고 해석하는 것을 범죄 행위로 혐오할 만큼 철저한 학문적 지조를 강조하는 학자였다.

허혁 박사의 엄한 지도를 받음으로써 최영실은 성서 본문을 바로 읽고 해석하는 방법을 습득했으나 아쉽게도 허혁은 제자에게 박사학위를 주지 못하고 병을 얻어 눕게 됐다. 허혁을 대신해서 최영실의 논문지도를 맡은 것은 한신대 신학대학원의 안병무 박사였다. 그리고 안병무의 실존론적 성서 해석의 방법론은 허혁의 학풍을 뛰어넘는 것이었다. 아마도 안병무는 오늘 우리가 처해 있는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현실을 도외시하고 성서 원문을 읽고 해석하는 것은 일종의 학문적 현실도피라고 주장했을 것이다. 최영실 교수가 그 당시 서로 대립하는 듯이 보이는 두 지도교수의 학풍과 방법론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소화해냈는지, 묻고 싶은 대목이다.

그러나 나는 최 교수의 글을 읽을 때마다 어딘가에 고집스러운 허혁의 텍스트주의와 안병무의 실존론적 해석이 공존하고 혼합되어 있는 것을 느낀다. 그리고 한참 읽다보면 거기엔 혼합도 공존도 없고 두 지도교수의 학풍과 방법이 하나로 녹아내려 최영실 자신의 방법과 학풍이라는 새로운 상(像)이 만들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특히『성서와 평화』에 실린 논문들의 이곳저곳을 읽으면서 나는 이 글들이 안병무가 생전에 썼던 글들의 보완 내지 속편이 될 수도 있다는 느낌을 가졌다.

1969년에 안병무는,“자유와 예수”라는 발표되지 않은 글에서, 예수가 선포한 하나님 나라의 개념에 대해 언급한 적이 있다. 사실 기독교는“하나님 나라가 가까웠다, 회개하고 복음을 믿어라” 라는 선포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래서 최 교수의 책도 첫 장을‘하나님 나라와 평화’로 시작했을 것이다. 그런데 최 교수의 이 제1장은 안병무가 30여 년 전에 주장하고자 했던 것을 더 정밀하게 학문적 고증과 신학적 해석을 첨부해서 확대재생산한 것으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안병무는‘하나님 나라’에 대해 이렇게 썼다.

“하나님 나라가 궁극적인 자유의 현실이라면 그것은 하나님이 주는 현실이지 인간이 구축하는 유토피아는 아니다. 그러나 그 나라는 바로 이 역사 한가운데 도래하는 것이며, 그 구원은 전체로서 인간의 구원이다. 예수는 은둔자가 아니다. 바로 이 역사적 현실에서 구체적 인간을 상대했다. 인간은 단독자가 아니라 바로 이 역사적 구조적 사회의 일원이다. 그러므로 이 산 인간의 자유나 구원을 위하는 데 그 구조적 사회와 무관할 수 없다. 예수는 세리와 죄인의 친구라고 비판을 받았다는 기록은 한두 번이 아니다. 이것은 예수와 기득권자들 사이에 충돌이 있었음을 의미한다. 이것은 예수의 행동이 정치적 관심에서 한 행위가 아닌데도 불가피하게 정치적 파문을 일으키기 때문이다”(안병무,『기독교의 개혁을 위한 신학』, 한국신학연구소, pp. 4-5).

최영실 교수는 그의『성서와 평화』 제1장에서 자기가 이 책에서 밝히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 분명히 하고 있다.“예수와 하나님 나라 운동을 밝힘에 있어서 이 글에서는 다음의 문제에 집중할 것이다: 예수가 선포하고 몸으로 실현시킨 하나님 나라란 무엇인가? 예수는 하나님 나라를 어떻게 이 역사 안에서 시작하고 실현시켰는가? 복음서 기자들은 나사렛 예수가 이 땅에 실현시킨 하나님 나라 소식을 통해 무엇을 말하려고 하는가?”(“예수와 하나님 나라 운동” 중에서)

자기의 인생 전체를 걸고 치열하게 복음과 신학의 세계를 탐구한 한 여성신학자의 신앙고백서와 같은 이 책이 삶과 신앙의 문제로 고민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참된 성서와 신앙의 세계로 인도하는 좋은 지침서가 되리라 확신한다.

박 형 규 (한국민주화운동사업회 이사장)

 

<책을 내면서(저자 서문)>

성서의‘평화’ 소식이 오늘의 현실에서 무엇을 말하는지를 깨닫는 데에는 참으로 오랜 세월이 걸렸다. 어린 시절 교회로부터 이른바 제1세계, 서구, 남성, 백인 위주의 근본주의적 성서 해석과 율법주의적 가르침을 받고 자란 나는, 학부의 전공을 바꾸어 1977년 이화여대 기독교학과 대학원에서 신학 공부를 하는 동안 현영학, 박순경, 정의숙, 서광선 선생님을 비롯한 많은 선생님들로부터 당시의 진보적 신학들에 대한 가르침을 받았다. 특히 나의 석사학위 지도교수인 허혁 선생님으로부터는 성서를 역사비판학적 방법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박사학위 지도교수인 한신대의 안병무 선생님으로부터는 우리의 민족과 세계사의 역사 현장에서 성서를 고난 받는 민중의 입장에서 새롭게 읽고 해석하는 방법을 배웠다. 그러면서도 다른 한편 나는 한라산 기도원에서,‘우는 자들’의 눈물의 기도를 들어주시고 응답해 주시는 평화와 사랑의 하나님을 경험했다.

그런데 이러한 과정에서 사실상 나를 일깨워 성서로부터 들려오는 참 평화의 소식을 듣게 한 것은 내가 공부하던 시기에 군부 독재에 맞서 일어났던 민주화 투쟁과 광주항쟁의 비극, 그리고 평화 통일 희년 운동의 과정에서 옥에 갇히고 고문을 당하고 목숨을 잃은 사람들의 고난의 역사였다. 고난당하는 자들을 위한 평화는 어디에 있는가? 외세의 지배와 분단 구조 속에서 고통당하며 우는 자들을 위한 참 평화는 어떻게 이룰 수 있는가? 이러한 현실에서 교회와 그리스도인은 무엇을 해야 하는가? 나는 성서를 다시 읽었다. 그리고 한국기독교장로회의 잠실중앙교회와 서울제일교회,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KNCC)의 목요기도회에 참석하고, 김지하 씨를 비롯한 민주 인사들의 재판을 방청하면서, 광주항쟁의 희생자 가족의 피맺힌 증언을 들으면서, 깨닫기 시작했다.

불의한 강자들이 무력으로 약소국가를 침략하고, 법과 교리를 이용하여 가난한 자들을 착취하고 억압하면서도 슬로건처럼 외쳐대고 있는 저 평화는‘거짓 평화’이다. 성서의 평화는 억압받는 자들과 우는 자들을 위한 평화이다. 이 평화를 이루기 위해 우리는 예수가 그랬던 것처럼 불의한 자들에 맞서 저들의 불의를 폭로하고 정의를 이루어야 한다. 참 평화를 이루기 위해서 교회와 그리스도인은 결코 교회 안에 머물러 있어서는 안 되며, 정치 권력을 포함하여 모든 불의한 세력들에 맞서서 싸워야만 한다. 그러나 성서의 평화는 무력으로 불의한 자들을 죽임으로써 해방을 이루는 그런 평화가 아니다. 그것은 불의한 자들을 돌이켜 그들도 생명과 평화의 길을 걷게 하는 것이며, 그 일을 위해 우리 자신의 목숨을 바치는 것이다.

한반도의 상황에서 외세의 지배와 남북 분단, 그리고 독재정권으로 이어지는 한반도의 역사 속에서 참으로 많은 사람들이 참 평화를 위해 싸우다가 목숨을 잃었다. 그러나 우리 민족은 아직 통일을 이루지 못했고, 오늘도 여전히 이념과 사상, 계층과 종교들 간에 끊임없는 갈등과 분쟁이 이어지고 있다. 이제 이 모든 갈등과 분쟁의 벽을 깨뜨리고 민족의 통일과 참 평화를 이루어야 할 과제는, 지나간 수난의 역사 속에서도 우리의 목숨을 버리지 못했던 오늘 우리들에게 넘겨졌다. 성서는 이 땅에 참된 화해와 평화를 이루는 길을 알려준다. 참된 평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우리의 목숨을 내놓고 불의에 맞서 싸워야 한다. 그리고 지금까지 내가 가졌던 가치관과 이데올로기, 율법과 종교를 뛰어넘어야 한다. 바울 사도가 말한 것처럼“나 자신은 저주를 받아 그리스도에게서 떨어져 나가도 좋다”는 각오로, 동족의 화해와 세계의 평화를 위해, 내가 가진 모든 것을 버려야 한다. 이것이 내가 성서로부터 듣게 된 화해와 평화의 길이다.

이 책에서는, 필자가 박사학위 과정에 있던 1983년에 제13차 한국기독교학회에서 발표한 논문“오직 그리스도를 통해서만?”(이 책 2부의“그리스도교적 구원 이해”)에서부터 2004년에 이라크 파병과 관련하여 쓴 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글들을 주제별로 묶어 놓았다. 20여 년의 시간이 경과하는 과정에서 썼던 글과 강연, 설교 원고들 가운데는 성서가 말하는 참 평화가 무엇인지를 명백하게 말하지 못한 것들도 있다. 그러나 이 모든 것들은 평화에 대한 나의 오해와 깨우침의 과정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아무쪼록 부족한 이 책이 지난날 나와 같이 오늘도 근본주의적인 성서 해석과 율법적이며 개인적인 신앙에 빠져 민족과 역사 현실을 올바로 인식하지 못하고, 참 평화의 길을 깨닫지 못하는 사람들을 일깨울 수 있는 작은 계기가 되기를 소망해 본다.

오늘 성서로부터 들려오는‘평화’의 소식을 말할 수 있기까지, 학문을 통하여 목회를 통하여 그리고 눈물의 기도로 나를 일깨워 주신 많은 분들의 가르침과 지도와 사랑의 기도가 있었다. 이화의 선생님들, 허혁, 안병무 선생님, 박형규, 박성자 목사님과 한송죽 전도사님, 한라산 기도원 임금찬 원장님과 김명순 전도사님, 그리고 신학의 길에 비판과 조언을 아끼지 않은 친구들에게 진심으로 감사한 마음을 전하고 싶다. 그리고 학문의 자유를 가지고 성서를 연구하고 신학생들을 가르칠 수 있도록 일터를 마련해 준 성공회대학교의 이재정, 김성수 총장님, 동료 교수, 함께 공부하는 성공회대학교 학생들에게도 감사를 드린다. 또한 이 책이 나오기까지 원고들을 꼼꼼히 읽고 교정하여 책으로 발간해 준 민들레책방의 김재성 박사에게 진심으로 고마운 마음을 전하고 싶다.

2004년 3월 30일

최영실

 

<차례>

제1부 하나님 나라와 평화

    예수와 하나님 나라 운동 ● 15

    마태복음에 나타난 화해의 길 ● 30

    누가복음을 통해본 희년의 성취 ● 45

    요한복음에 나타난 예수의 평화 ● 66

제2부 복음과 구원

    이혼법과 예수의 법 ● 85

    그리스도교적 구원 이해 ● 98

    배타적 종교와 복음의 관용 ● 117

    그리스도교의 배타성과 개방성 ● 130

    믿음과 행함 ● 139

제3부 해방과 생명

    성서적 의미의 탄일종 소리 ● 155

    소외된 자들과 예수 ● 165

    그리스도의 영을 받은 사람들 ● 179

    예수 그리스도 세상의 생명 ● 208

    성서가 말하는 참된 복 ● 217

제4부 불의와의 싸움

    묵은 땅을 갈아엎어라 ● 227

    보복과 미움을 가르치는 자들과 예수 ● 236

    국가보안법 위반자 예수 ● 247

    교회의 중산층화와 예수의 복음 ● 258

    우리의 손으로 허물어야 할 그 성전 ● 265

제5부 평화 ․ 통일의 길

    어찌하여 이 때를 분간하지 못하느냐 ● 293

    나 자신은 그리스도에게서 끊어질지라도 ● 302

    성서적 입장에서 본 6자회담과 동북아 평화 ● 313

    성서를 통해 본 한미동맹과 이라크 파병 ● 322

    21세기와 희년 운동의 방향 ● 330

출전 ● 344

주 ● 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