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 바르트의 신학 이해

최 영 지음

 

 

<저자의 머리말>

바르트는 신학의 한 분과에 속하는‘조직신학’을“융통성 없는 강철”과 같다고 말한 적이 있다. 이 표현은 우리가 이 분과의 과제인 교의학과 윤리학을 탐구할 때, 결코 어떤 개념들로 출발하여 이 개념들로 구축된 그리스도교적 진리의 체계를 세우거나 선포해서는 안 된다는 단호한 의지를 담고 있다. 이같이 바르트는 40여 년에 걸치는 신학의 긴 순례의 여정동안 성경 안에서 증언되는 그리고 성령을 통하여 살아 움직이는 하나님의 말씀, 곧 예수 그리스도를 제외하고는 어떤 개념이나 어떤 원리가 교회 공동체를 지배하는 것을 내버려두지 않았다. 그가 초안을 작성한‘바르멘 신학선언서’(1934)는 이에 대한 생생한 증거이다.

참으로, 바르트가 신학자로서 또한 정치가(!)로서 말하고자 한 마지막 말은‘은혜’라는 개념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라는 이름이었으며(『마지막 증언들』, 33), 그는 그의 긴 생애동안 점진적으로 이 이름을 드높이고 말하는 일에 전력을 다하였다. 그는 독일 르네상스의 대표적 화가인 마티아스 그뤼네발트의 이젠하임 성당의 제단장식화인‘십자가에 달리신 예수 그리스도’라는 그림에 나타난, 긴 집게손가락으로 십자가에 달리신 분을 가리키는 세례요한을 세상에서 그리스도의 증인으로 살아가고자 하는 그리스도인들의 귀감으로 여겼다. 그리고 그 자신이 그렇게 평생을 화해 사역을 성취하신 예수 그리스도와 그의 우주적 주권만을 전적으로 드러내는 증언자로서의 삶을 살았다. 이런 의미에서 바르트는 가톨릭 신학과 개신교 신학이라는“두 개의 신학에 정통한 박사”(한스 큉)였다. 이것은 우리가 바르트의 신학을 배우고 그의 신학적인 성서해석학의 안내를 따라서 복음의 메시지를 이해할 때, 가톨릭과 개신 교회의 울타리를 넘어서 예언자적이고 사도적인 복음의 빛나는 본질에 다가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난 몇 년간 필자는 현대의 신학적 과제를 바르트적 시각에서 해결하려고 노력하였다. 그러나 바르트의 입장을 앵무새처럼 단순 반복하지 않고, 그가 서 있던 바로 그 자리를 나 자신의 것으로 만들려고 끊임없이 노력하였다. 본서에 실린 10편의 글들은 이러한 노력의 결실들이며, 그간『말씀과 교회』,『신학연구』,『신학사상』 등에 발표하였던 논문들이다. 이 논문들은 신학의 학문성에 대한 바르트의 해명을 비롯하여, 성서론, 그리스도론, 화해론, 교회론, 의인론, 종말론 등 바르트 신학의 다양한 핵심적 주제들을 다루고 있다. 그런데 이 글들을 묶어 출판하기 위해 새롭게 교정하고 정리하는 가운데 필자는 중복된 부분들이 생각보다 많다는 것을 발견했다. 특히, 4장“칼 바르트는 과연‘자연신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주었나?” 그리고 5장“칼 바르트의 빛의 론”은 몇몇 바르트 해석자들과 벌인 신학논쟁의 성격을 지닌 글들이기 때문에, 바르트의 중요한 문서들에 대한 반복적인 인용과 해석이 되풀이되고 있다. 독자들이 지루하게 생각하지 않을까 염려되기도 하지만 중요한 문서들에 대한 거듭되는 해석과 해명을 통해서 바르트 신학과 사상에 대한 독자들의 이해가 깊어지기를 소망한다.

이 책이 나오기까지 고마움을 표해야 할 몇 분들이 있다. 우선 기장신학연구소의 정권모 소장님께 감사드린다. 그의 끊임없는 격려와 배려는 신학순례의 과정에 있는 필자에게 언제나 큰 힘이 되었다. 또한 어려운 경제 여건에도 불구하고 한국교계와 신학의 발전을 위해 선뜻 보잘것없는 이 책을 출판해 주신 민들레책방의 김재성 박사에게 감사드린다. 그리고 못난 남편을 푸근한 사랑으로 이해하고 성원해주는 사랑하는 아내 경자와 너무나 힘든 고등학교 3학년 과정을 성실하게 살아가는 아들 호은에게 감사한 마음을 표한다.

<차례>

제1장

신학의 학문성과 과제

1. 들어가는 말 ● 15

2. 로마서 강해(1919, 1921) ● 17

3. 하나님의 말씀과 신학의 가능성 ● 22

1) 신학의 과제로서의 하나님의 말씀 ● 22

2) 하르낙과의 논쟁과 새로운 방향 전환 ● 25

4. 교회 교의학 ● 30

5. 행복한 학문 ● 34

6. 나가는 말 ● 38


제2장

성서의 증언과 신학적 이해

1. 들어가는 말 ● 41

2. 성서의 노선과 성서적 통찰 ● 43

3. 예수 그리스도와 세례 요한 ● 47

1) 참 증인, 예수 그리스도 ● 47

2) 구약성서의 예언자들과 세례 요한 ● 50

3) 그리스도에 대한 참된 증인, 세례 요한 ● 52

4. 신학의 학문성과 프로테스탄트 신학 ● 54

1) 신학의 학문성 ● 54

2) 프로테스탄트 신학의 과제 ● 58

5. 나가는 말 ● 62


제3장

칼 바르트의 신학에서 그리스도와 문화

1. 들어가는 말 ● 64

2. 19세기 자유주의 신학과 바르트 ● 67

1) 19세기 독일의 자유주의 신학 ● 67

2) 위대한 신학적 방향전환 ● 70

3. 제2판 로마서 강해(1922) ● 73

1) 로마서 강해 초판에서 제2판으로 ● 73

2) 바르트의 변증법적 신학 ● 77

4. 생명의 빛, 예수 그리스도 ● 84

1) 그리스도론적 집중 ● 84

2) 생명의 빛이신 예수 그리스도 ● 89

 (1) 하나님의 유일한 진리이신 예수 그리스도 ● 90

 (2) 유일한 진리와 다른 진리들의 관계 ● 92

3) 생명의 빛과 창조 세계의 빛들 ● 95

 (1) 유일한 참된 빛과 피조된 빛들 ● 95

 (2) 세상의 빛들과 자연신학의 문제 ● 98

5. 나가는 말 ● 104


제4장

칼 바르트는 과연‘자연신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주었나?

1. 들어가는 말 ● 108

2. 인본주의 신학에 대립하는 그리스도 중심의 신학 ● 111

3. 칼 바르트와 자연신학 ● 116

1) 바르트와 브룬너 사이의‘자연신학 논쟁’● 116

2) 1934년의 바르멘(Barmen) 신학선언 ● 119

3) 1937년의 기포드(Gifford) 강연 ● 121

4)『교회 교의학』 (1955년 화해론 제2권까지의 시기) ● 123

4. 예수 그리스도, 생명의 유일한 빛 ● 128

1) 하나님의 진리와 다른 진리들 ● 128

2) 생명의 빛과 창조 세계의 빛들 ● 132

3) 바르트는 자연신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놓았는가? ● 135

5. 나가는 말 ● 139


제5장

칼 바르트의 빛의 론

1. 들어가는 말 ● 145

2. Anhypostasis 와 Enhypostasis ● 148

1) 하나님의 행위로서의 성육신 ● 149

2) Anhypostasis 와 Enhypostasis ● 151

3. 참 증인이신 예수 그리스도 ● 157

1) 살아 계신 예수 그리스도 ● 157

2) 생명의 빛이신 예수 그리스도 ● 159

 (1) 하나님의 유일한 말씀, 예수 그리스도 ● 159

 (2) 성서와 교회 밖에 있는 참된 말들의 가능성과 근거 ● 162

 (3) 성서와 교회의 선포와 그 말들의 관계 ● 164


4. 생명의 빛과 창조 세계의 빛들 ● 167

1) 창조 세계의 빛들: 그 가능성과 근거 ● 167

2) 유일한 참 생명의 빛과 다른 빛들의 관계 ● 170

 (1) 절대적으로 구속력이 있는 하나님의 진리와의 관계 ● 170

 (2) 통일성과 전체성을 이루는 하나님의 진리와의 관계 ● 171

 (3) 궁극적인 하나님의 진리와의 관계 ● 171

 (4) 세상의 빛들과 자연신학의 문제 ● 172

5. 나가는 말 ● 175


제6장

칼 바르트의 화해론에서 죄의 문제

1. 들어가는 말 ● 179

2. 바르트의‘화해론’의 주제와 내용 ● 183

1) 화해론의 근거와 구조 및 형식 ● 183

2) 예수 그리스도, 종으로서의 주님 ● 188

3. 인간의 죄와 교만 ● 190

1) 죄의 인식의 거울: 예수 그리스도 ● 190

2) 교만으로서의 죄와 타락 ● 193

4. 나가는 말 ● 200


제7장

의인론의 관점에서 본 치유

1. 들어가는 말 ● 203

2. 죄된 인간의 의인 ● 205

1) 의인론의 문제 ● 206

2) 인간에 대한 무죄 선언으로서의 하나님의 심판 ● 207

3) 죄된 인간의 용서 ● 209


4) 오직 믿음으로만 ● 213

3. 오늘의 의인론 이해 ● 216

1) 의인론에 대한 새로운 접근 ● 216

2) 의인과 치유 ● 220

4. 나가는 말 ● 222


제8장

떨쳐 일어나 방향을 전환하고 고백하는 교회

1. 들어가는 말 ● 224

2. 참된 교회의 표지들 ● 226

1) 교회의 통일성 ● 227

2) 교회의 거룩성 ● 228

3) 교회의 보편성 ● 230

4) 교회의 사도성 ● 232

3. 항상 개혁되어야 하는 교회 ● 234

1) 교회 갱신의 신학적 당위성 ● 234

2) 교회 갱신의 과제: 예배의 갱신 ● 238

4. 나가는 말 ● 243


제9장

칼 바르트의 신학에서 아가페와 에로스

1. 들어가는 말 ● 245

2. 아가페와 에로스 ● 247

1) 아래로부터의 사랑의 운동: 에로스 ● 248

2) 위로부터의 사랑의 운동: 아가페 ● 250

3) 화해를 이루는 아가페 사랑 ● 251

3. 성령과 기독교인의 사랑 ● 255


1) 사랑의 근거 ● 256

2) 사랑의 행위 ● 258

3) 사랑의 대상 ● 260

 (1) 하나님에 대한 사랑 ● 261

 (2) 이웃에 대한 사랑 ● 263

4. 나가는 말 ● 265

 

제10장

칼 바르트의 그리스도론적 종말론

1. 들어가는 말 ● 268

2.『로마서 강해』의 종말론 ● 270

1)‘하나님의 하나님 되심’의 재발견 ● 270

2) 시간과 영원의 변증법 ● 272

3.『교회 교의학』의 종말론 ● 277

1) 삼중적 파루시아 ● 277

2) 성령을 통한 예수 그리스도의 파루시아 ● 282

3) 왜 이 중간 시간이 필요한가? ● 284

4. 나가는 말 ● 285